본문 바로가기
영화&동물정보

기린 성격, 크키, 몸무게 수명

by 뉸이뉸이 2019. 10. 28.
반응형

 



1. 개요

우제목 기린과의 포유류로 아프리카에 사는 목이 긴 초식동물입니다.
총 1속 1종이 존재하는 단일종으로 알려졌으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할 결과 총4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현재는 서아프리카기린, 록차일드기린, 그물무늬기린, 마사이기린, 앙골라기린, 남아프리카기린 등의 아종으로 나뉩니다.
현존하는 종들 말고도 지금은 멸종해버린 기린들도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발견되는 화석으로 보아 말라위와 차드 터키에 이르기까지 넓은 서식 영역을 가졌던 것으로 보입니다.

2. 이름의 유래

종명의 뜻은 "낙타와 표범을 닮은"이라는 뜻인데 이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기린을 낙타와 표범의 교잡종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사족이지만 고대 그리스인들은 표범은 사자와도 교배를 한다고 생각했는데 사자는 사자끼리 교배하는 것이 아니라 표범과 교배를 해서 자손을 본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동물을 동양권에서 기린이라고 부르게 된 것은 중국 명나라때 정화가 아프리카에서 이 동물을 보고 상상의 동물인 기린이라고 믿은 것에서 유래합니다.
중국에서는 이 동물을 長頸鹿(장경록, 즉 긴목사슴)이라고 부르고 기린은 그냥 원래대로 상상의 동물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쓰고 있습니다.

3. 신체

몹시 큰 키와 길다란 목으로 유명합니다. 태어날 때부터 무려 180cm 입니다.
긴 목이지만 사람과 같은 7개의 목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목이 길어 울음소리를 내지 못한다는 얘기도 있고 실제로도 무척 과묵한 동물이긴 하지만 드물게 울기도 합니다. 몇 십년에 한 번 정도 청취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합니다.
과거 SBS 프로그램 TV 장학회에서 도쿄 우에노 동물원에서 녹음된 기린 울음소리를 방영한 적이 있었는데 소 울음소리와 흡사했다고 합니다.
기린은 뇌에 혈액을 보내기 위해 선천적인 고혈압을 앓고 있어 머리를 땅에 오랫동안 가까이 하고 있으면 뇌졸중으로 죽을 수도 있습니다. 기린은 중력에 반해 뇌까지 엄청난 혈압으로 피를 쏘아올리다시피하여 혈액 공급을 해야하기에 어쩔 수 없습니다.
후두는 잘 발달되어 있으나 미주신경의 구조상 먼 거리를 돌아야해서 발성에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이 미주신경의 부분인 되돌이 후두신경의 구조가 매우 특이한데 머리의 뇌에서 긴 목을 따라 내려와서심장의 대동맥과 심장 사이를 지나 다시 머리로 이어진 형태입니다.
마빡이 상당히 두꺼운데 이는 태양열에 의해 뇌가 과열되는 걸 방지하는데 기여한다고 합니다.
다리가 길고 가늘어 보이며 약해 보이는 겉모습과는 달리 달리기도 빠르고 다리가 굉장히 유연합니다.
아래로 고이는 물을 마실 때의 기린은 다리를 180도에 가깝게 찢어서 목을 내리고 그 자세에서 그대로 일어나는 초월적인 유연성과 다리힘을 자랑합니다.

3-1. 기린은 왜 목이 길까?

기린의 목이 왜 길어졌느냐의 용불용설, 적자생존 등의 다양한 설이 제기되었습니다.
둘 다 높은 나뭇가지에 달려 있는 나뭇잎의 새순을 따먹기 위해 그렇게 목이 길어졌다 라는 내용입니다. 용불용설은 계속 나무 위쪽만 쳐다보면서 용을 쓰다보니까 목이 늘어났다는 주장이고, 적자생존은 태초에 목이 긴 기린과 목이 짧은 기린이 있었는데 목이 짧은 기린은 굶어 죽어 도태되었기 때문에 목이 긴 기린만이 살아남았다는 주장입니다.
기린은 천적이 거의 없는 동물이어서 적 발견이나 도망갈 일이 많지 않습니다.
근래에는 가늘고 긴목의 체형이 열발산에 유리하다는 체온조절설이 인기있는 설입니다.

4. 초원의 무법자

기린은 유약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오해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기린은 단순 스펙으로만 따지자면 하마나 코뿔소 같은 위협적인 맹수에 버금갈 정도로 육식동물들은 비교도 안되는 강력한 동물 중 하나이며 인간 기준으로 따지면 명백히 맹수 축에 끼는 무시무시한 동물입니다. 
기린의 그 강함은 일단 터무니없는 크기와 무게 키에서 나오는 높은 공격력에 근거합니다.
특히 뒷발차기의 위력이 매우 강력해서 제대로 적중시킬 경우 사자의 두개골이 함몰되거나 내장이 파열 될 정도라고 합니다.
동물원 드에서 한 두마리만 보면 잘 모르지만 기린이 떼로 움직이면 마치 숲이 통째로 움직이는 듯한 장관을 연출합니다.
기린은 새끼를 많이 낳지 않고 핵가족 생활을 하기 때문에 많은 개체가 한번에 불어나지 않는 식으로 생태계의 시스템을 맞춘다고 생각됩니다.






반응형

댓글